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준비하는 청년이라면, 은행별 우대금리와 이자율을 먼저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이자율을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 청년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5년 만기 자유 적립식 적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통해 5년 동안 최대 5,000만원 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전반적인 내용을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해 보시고,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와 이자율을 확인해 은행을 선택해 보세요.
▼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바로가기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이자율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은 신한, 기업, 하나, 농협, 우리, 국민, iM뱅크, 부산, 경남, 전북, 광주은행입니다.
은행별로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우대금리와 이자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유리한 은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적금의 이자율은 은행별 기본 이자율에 우대금리를 더해 산정되어 만기 해지 시 적용됩니다. 우대금리는 조건을 충족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므로 조건을 따져 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이자율은 만기 5년 동안 첫 3년 동안은 고정 금리가 적용되며 이후 2년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이자율은 시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가입 당시 해당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율을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신한은행 이자율
신한은행의 청년도약계좌 최대 이자율은 기본 이자율에 우대금리를 더하여 적용됩니다.
신한은행의 기본 이자율은 연 4.50%이며 우대 금리가 최대 1.50%로 최고 연 6.00%의 이자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3년 고정 금리, 그리고 남은 2년 기간 동안은 변동금리가 제공됩니다. 3년이 경과된 후 시점부터 1년마다 금리가 변동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한은행 우대금리 조건
신한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경우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이자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조건 중 충족하는 항목에 따라 최대 연 1.50%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1. 소득 우대 조건
총급여 기준 2,400만원 이하(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연 0.50%의 우대금리 적용
2. 급여 조건
본인 명의로 된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연 0.30% 우대금리 적용
※아래 중 1가지 이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
- '신한 주거래 우대통장' 또는 'Tops 직장인 플랜 저축예금' 가입 고객으로 급여일 수기 등록 후 급여일(전후 1영업일 포함)에 건당 50만원 이상 입금되는 경우
- 대량 급여 이체로 이체되거나 다른 은행에서 이체 시 거래 메모 또는 내용상 급여, 상여금, 월급, 봉급, 연금, 성과급, 급료, 보너스, 보로금, Salary, bonus, pay 등으로 입금 실적이 건당 50만원 이상 있는 경우
3. 신한카드 결제 실적 조건
본인 명의로 된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신한카드(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 결제 실적이 있는 경우 연 0.30%의 우대금리 적용
※실적 인정 기간은 예금 가입일로부터 만기일이 속한 달의 전전달까지
4. 신한은행 거래 조건
청년도약계좌 신한은행 신규 개설 직전 1년 동안 신한은행 예금, 적금, 청약이 없었던 경우 연 0.40%의 우대금리 적용
만약 1번의 소득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조건을 만족하여 최대 연 1% 이자율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기업은행
청년도약계좌 기업은행 이자율
기업은행은 기본 이자율 4.50%에 우대금리 최대 1.50%를 합하여 최대 이자율 6.00%를 적용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본 이자율은 최초 3년 동안 연 4.5%이며, 3년 이후에는 변동 금리를 적용하여 3년 경과 시 기본 이자율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업은행 우대금리 조건
기업은행의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과 조건에 따른 이자율을 알아보겠습니다.
계약 기간 동안 아래 조건을 충족하고 만기 해지하는 경우 우대금리가 제공됩니다. 모든 조건을 만족할 시 최고 연 1.50%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1. 소득 우대금리 조건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하여, 저소득층(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충족 횟수에 따른 우대금리를 적용하여 최대 연 0.5% 우대금리 제공
- 5년의 만기 기간 동안 소득 수준 1회 충족 시 0.1%, 2회 충족 시 0.2%, 3회 충족 시 0.3%, 4회 충족 시 0.4%, 5회 충족 시 0.5%
2. 주거래 우대금리 조건
기업은행 주거래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최고 연 1.0%의 우대금리 제공
급여 이체 | 급여 이체(50만원 이상) 실적 36개월 이상 만족하는 경우 연 0.5% 우대금리 적용 [급여 이체 실적인정 기준] - 당행 급여 이체 방식 : IBK 영업점 창구 급여 이체 또는 인터넷뱅킹 급여 이체 시스템을 통해 월 50만원 이상 입금 - 기타 이체 방식 : 지로 대량 이체, CMS 대량 이체, 타행환, 전자금융을 통해 급여, 월급, 상여금 등의 용어로 월 50만원 이상 입금 (단, IBK영업점 창구, 자동화기기 입금분은 인정되지 않음) - 급여 이체 지정 일자 등록 방식 : 급여 이체 지정일자를 신청, 등록하고 지정일자 앞뒤로 3영업일 이내에 월 50만원 이상 입금 |
최초 고객 | 가입 시점 기업은행 최초 신규 고객인 경우 연 0.3% 우대금리 적용 (※실명 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또는 가입일 직전 월 기준 6개월 동안 총수신평잔 '0'원) |
지로/공과금 자동 이체 | 지로/공과금 자동이체(월 2건 이상) 실적 36개월 이상 만족하는 경우 연 0.2% 우대금리 적용 (※아파트관리비, 지로, CMS, 펌뱅킹) |
카드 이용 | 신용(체크)카드 이용 실적 연 평균 200만원 이상 만기 시점까지 보유 시 연 0.2% 우대금리 적용 |
마케팅 동의 | 가입 시점 상품 서비스 마케팅 문자 수신 동의 상태인 경우 연 0.1% 우대금리 적용 (※기존 미동의 고객이 계좌 신규 당일에 동의한 경우 포함) |
1번 소득 조건에 해당하지 않아도, 우대 금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연 최대 1.0%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하나은행
청년도약계좌 하나은행 이자율
하나은행 청년도약계좌는 최초 3년간 기본 이자율은 4.5%로 고정되며 3년 이후 2년 동안은 1년 단위로 변동 금리를 적용받습니다.
최대 이자율은 기본 이자율 4.5%에 우대금리 조건에 따라 최대 연 1.5%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아 최대 6.0%의 이자율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하나은행 우대금리 조건
하나은행 청년도약계좌는 조건을 만족할 경우 우대금리가 추가되며, 최대 연 1.50%의 우대금리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우대 항목 조건을 살펴보겠습니다.
1. 소득 요건
가입신청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 금액의 소득 요건 충적(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연말 정산한 사업소득·연금소득·종교인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최대 연 0.50% 제공
- 5회 충족 시 : 0.5% / 4회 충족 시 : 0.4% / 3회 충족 시 : 0.3% / 2회 충족 시 : 0.2% / 1회 충족 시 : 0.1%
2. 급여(가맹점 대금) 이체
가입 후 만기 전전월말 기준, 본인 명의의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을 통해서 36회차 이상 급여 입금 또는 가맹점(결제) 대금 입금 실적을 보유한 경우 (월 1회 인정) 연 0.6% 우대금리 제공
※ 급여 입금 인정 기준 : 타인으로부터 건당 50만원 이상 입금 시, 급여를 의미하는 적요(급여, 월급, 연봉, 봉급, 상여, 성과, 보너스, salary, bonus 등)를 포함하여 입금되거나, 사전 지정한 급여일 전후 1영업일 이내에 입금되는 자금
3. 카드 결제
가입 후 만기 전전월말 기준, 본인 명의의 하나은행 입출금 통장을 통해 36회차 이상, 월 합산 10만원 이상의 하나카드 결제 실적(신용 및 체크카드)을 보유한 경우 연 0.20%의 우대금리 제공
4. 목돈 마련 응원
가입일로부터 직전 1년간 적금 또는 예금을 미보유한 경우(단, 청년희망적금,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청년도약계좌, 주택청약종합저축 예외) 연 0.10% 우대금리 적용
5. 마케팅 동의
가입 전 하나은행 상품, 서비스 마케팅 동의 항목 모두를 동의한 경우 연 0.10% 우대금리 적용
하나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농협은행
농협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농협에서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의 이자율은 최저 4.5%~최대 6.0%로, 기본 4.5% 이자율에 우대금리 최고 연 1.5%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초 3년은 기본 이자율이 연 4.5%이며, 가입일로부터 3년 경과 시점부터 남은 2년 동안은 적용 금리 변경 시점에 농협은행 영업점 및 홈페이지에 게시된 기본 이자율을 적용받습니다.
우대금리는 우대금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만기 해지 시에 제공됩니다.
농협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농협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에 따라, 만기해지시에 최고 연 1.5%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각 조건과 이자율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급여 이체 실적 조건
가입 월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NH농협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 입금 실적이 12개월/36개월/50개월 이상 있을 시 각각 0.1%/0.3%/0.5% 우대금리 적용
※ 인정 기준
- 농협은행 하나로가족고객제도에서 정하는 급여 이체 기준을 표준으로 삼아 적용되며 월별 50만원 이상인 경우 인정됨 (비연속적인 경우 포함)
- 농협(NH농협은행, 지역 농/축협) 급여 이체와 타행 급여 이체로 구분되며, 건당 50만원 이상인 경우 입금 월 기준으로 실적 인정
2. 카드 이용 실적 조건
가입한 월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농협은행에서 발급한 NH채움(개인 신용/체크) 카드에 월평균 20만원 이상 이용 실적이 있는 경우 0.2% 우대금리 적용
※ 승인 실적을 의미하며, 현금서비스는 제외됨. 거래를 취소한 경우 향후 이용 실적 금액에서 차감됨
3. 가입 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금 및 적금(주택청약 포함)을 보유하지 않았거나 NH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인 경우 0.1% 우대금리 적용
4. 가입 시점에 상품 서비스 안내 동의서(⑦번 동의서)에 전체 동의한 고객의 경우 0.2% 우대금리 적용
※ 전체 동의한 경우에만 인정되며, 상품 가입 후 동의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음
5. 소득 수준 조건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 금액의 소득 요건(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 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충족 횟수에 따라서 최고 0.5% 우대금리 적용
- 충족 횟수에 따라 5회 충족 시 0.5%, 4회 충족 시 0.4%, 3회 충족 시 0.2%, 1회 충족 시 0.1% 우대금리 적용
이외 상세한 농협의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싶으신 경우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우리은행
우리은행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최대 이자율은 기본 금리에 우대 금리를 더하여 결정되며, 우리은행은 기본 연 4.50%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가입 시점부터 3년까지는 신규일 당시 영업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고시된 금리가 적용되고, 3년 이후 2년 동안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현재 우대금리는 최대 연 1.50%로 기본 금리에 우대 금리를 더하면 최대 연 6.00%의 이자율을 제공받게 됩니다.
우대금리는 만족하는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우리은행의 우대금리 조건은 바로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은행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우대금리는 최대 연 1.50%이며, 우리은행에서 제공하는 우대금리 조건을 얼마나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1. (특별 우대금리) 소득 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최대 연 0.5% 우대금리 제공
개인 소득 금액의 소득 요건(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을 충족한 횟수에 따라서 최대 연 0.5% 우대금리 제공
- 충족 횟수에 따라 5회 충족 시 : 연 0.5% / 4회 충족 시 : 연 0.4% / 3회 충족 시 : 연 0.3% / 2회 충족 시 : 연 0.2% / 1회 충족 시 : 연 0.1% 우대금리 제공
※ 개인 소득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적금 신청 및 가입한 후 1년 주기로 심사합니다.
2. (우대금리) 아래 조건을 충족할 경우 최대 연 1.00% 우대금리 제공
※ 만기 해지 시점까지 우리은행 상품 서비스 마케팅 동의(SMS, 휴대전화 모두) 및 적금 자동 이체 유지 필수
- 급여 이체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 이체(월 50만원 이상, 적금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가입 기간 1/2 이상)한 경우 연 1.0%
- 직전 1년 동안 우리은행 정기 예금 및 적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연 0.5%
- 우리카드 결제 실적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를 통하여 우리카드(신용카드/체크카드) 결제 실적을 보유한 경우 (월 10만원 이상, 적금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가입 기간의 1/2 이상) 연 0.5%
※ 우대금리와 특별 우대금리는 만기 전 중도 해지 시 적용되지 않습니다.
우리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 KB국민은행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KB청년도약계좌 이자율은 기본 이자율에 우대금리를 더하여 최고 연 6.0%입니다.
기본 이자율은 연 4.5%이며,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함에 따라 최고 연 1.5%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이자율은 가입일 당시 영업점 및 KB국민은행 홈페이지에 게시한 이율을 적용하며, 가입일로부터 3년이 경과한 이후 2년 동안은 기본 이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우대금리 최대 연 1.5%를 만족하려면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항목에 따라 적용되는 이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이 어떤 조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여 연 최대 몇 퍼센트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 조건을 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1. 급여 이체
신규 가입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인 경우 연 0.6% 우대금리 적용
2. 자동 납부
신규 가입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본인 명의의 KB국민은행 입출금 통장에서 아래 ① 또는 ② 에 해당하는 자동 이체 출금이 발생한 경우 연 0.3% 우대금리 적용
① 월 2건 이상의 공과금 자동 이체 출금 월수 36회 이상 (※계좌 거래내역 중 거래유형이 아파트 관리비, 지로, CMS, FBS인 출금 건에 한함)
② KB Liiv M의 청년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 이체 출금 월수 36회 이상 (※본인 명의로 KB Liiv M 「청년도약 LTE 요금제」 개통 후 요금제 해지일까지 자동 이체 출금 월수 36회 이상 발생한 경우이며, 1개월 이상 요금제 정지 시 정지 기간 중 출금 건은 자동 이체로 인정되지 않음)
3. 거래 감사
계약 기간 중 주택청약종합저축(※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포함) 신규 가입 고객 또는 가입일 기준 KB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인 경우 연 0.1% 우대금리 적용
4. 소득 플러스
가입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 금액의 소득 요건(총급여 기준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기준 1,600만원 이하)을 충족하는 경우, 충족 횟수에 따라 차등 적용하여 최고 연 0.5% 우대금리 적용
- 5회 충족 시 : 연 0.5% / 4회 충족 시 : 연 0.4% / 3회 충족 시 : 연 0.3% / 2회 충족 시 : 연 0.2% / 1회 충족 시 : 연 0.1%
KB국민은행 KB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자세히 확인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7. iM뱅크
iM뱅크 iM청년도약계좌 이자율
iM뱅크 청년도약계좌 기본 이자율은 신규일로부터 3년까지 연 4.00%이 적용되며 3년 초과 이후 2년 동안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현재 우대금리는 최고 연 2.00%가 적용되며, 이자율은 기본 이자율에 우대 금리를 더해 최고 연 6.00%의 이자율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iM뱅크 iM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iM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는 최고 연 2.00%이며, 충족되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 조건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 요건 충족
가입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확인한 개인 소득 금액이 소득 요건(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을 충족한 횟수에 따라 최대 연 0.50% 우대금리 적용
- 충족 횟수 1회 당 연 0.10%
2. 자동 이체 조건
가입 기간(가입일 당일부터 만기일 전일) 중 당행 계좌에서 자동 이체로 30회 이상 입금한 경우 연 0.70% 우대금리 적용
3. 상품 가입 전 당행에서 가입한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고객에게 연 0.50% 우대금리 적용
4. 상품 가입 전 마케팅 활용[개인(신용)정보 수집·이용 동의] 상품 서비스 안내 수단 전체 동의한 경우 연 0.30% 우대금리 적용
iM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iM뱅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 부산은행
부산은행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부산은행에서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 이자율은 연 최고 6.00%으로, 기본 이자율 최저 연 4.00%에 우대금리 최대 2.00%를 합산한 이자율입니다.
현재 기본 이자율이 만기 60개월 동안 첫 3년은 고정 금리로서 연 4.00%이며 이후 2년 간은 부산은행 홈페이지에 고시된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우대금리 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 최대 2.00%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 조건은 바로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은행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우대금리는 최대 2.00%로, 충족하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우대금리는 만기 해지 시에 적용됩니다.
1. 부산은행 신규 고객
3년 이내 예적금 가입 이력이 없는 고객에게 0.50% 우대금리 적용
2. 부산은행 신용(체크)카드 실적
가입 기간 중 부산은행 BC카드 사용 실적(매입금액) 5백만원 이상인 경우 우대금리 0.50% 적용
※ 만기일 전전월말까지의 실적으로 판단함 (예: 계좌 개설일 2023.07.10, 계좌만기일 2028.07.09인 경우 카드실적 적용일은 2023.07.10 ~ 2028.05.31)
3. 급여 실적
가입 기간 중 1/2 이상 (30개월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0.50% 우대금리 적용
※ 만기일의 전전월말까지의 실적으로 판단함 (예: 계좌 개설일 2023.07.10, 계좌 만기일 2028.07.09인 경우 급여 이체 실적 적용일은 2023.07.10 ~ 2028.05.31)
4. 소득 조건 우대
총급여 2,400만원, 종합소득 1,600만원, 사업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우대금리 최대 0.50% 적용
※ 매년 소득 심사하여 해당하는 횟수마다 0.1%씩 최종원금에 반영 (예: 5년 동안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를 충족하는 횟수가 3번인 경우 우대금리 0.3% 적용)
부산은행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9. 경남은행
경남은행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현재 기본 이자율 4.00%와 우대금리 최대 2.00%를 합하여, 연 최고 6.00% 이자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 이자율은 5년 만기 동안, 가입 후 3년까지는 4.00%(신규 가입 시 고시 금리)가 적용되며, 3년 경과 후 만기 시까지는 3년 경과 시점에 영업점 및 홈페이지에 고시한 기본 금리가 적용됩니다.
우대금리는 조건에 따라서,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 최대 2.00% 제공되며, 중도해지 시에는 우대금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경남은행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1. 급여/가맹점 입금 조건
적금 가입 기간 중 가입 기간의 1/2 이상 다음 중 하나의 주거래 입금 실적을 보유한 경우 연 0.70% 우대금리 제공
- 급여 이체 실적 보유
- 가맹점 결제 대금 입금 실적 보유
※ 급여 이체 : 지정 일자 전 5영업일 또는 후 10영업일 이내, 건별 50만원 이상 입금 거래가 있는 경우로서 급여 일자 등록 필수
※ 가맹점 입금 : 비씨, 신한, 삼성카드사 중 1개 이상의 가맹점 대금이 입금되는 경우
2.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적금 신규 가입 시점에, 경남 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보유한 경우(청년 우대형 포함) 연 0.40% 우대금리 적용
3. 첫 거래 고객 가입
적금 가입일 기준으로 직전 1년간 경남은행 정기 예금, 정기 적금,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신규 및 해지 이력이 없는 고객이 신규하는 경우 연 0.40% 우대금리 적용
4. 소득 조건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 금액의 소득 요건(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연말 정산한 사업 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 금리 최대 0.50% 적용
※ 5회 충족 시 0.50%, 4회 충족 시 0.40%, 3회 충족 시 0.30%, 2회 충족 시 0.20%, 1회 충족 시 0.10%
경남은행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0. 광주은행
청년도약계좌 광주은행 이자율
KJB청년도약계좌의 이자율은 현재 최고 연 6.00%로, 기본 이자율과 우대금리를 합산한 이자율입니다.
현재 기본 이자율이 연 3.80%이며 3년 고정 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 동안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우대금리는 최고 연 2.20%로, 우대 조건을 만족하는 만기 해지 계좌에 대해 적용됩니다.
우대금리 조건을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광주은행 우대금리 조건
KJB청년도약계좌의 우대금리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본인이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여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1. 첫 거래 조건
해당 적금 가입일 전일자를 기준으로 최근 1년 동안, 본인 명의의 광주은행 정기예금 및 적금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신규 혹은 해지 거래(신규 취소는 제외) 이력이 없는 경우 우대금리 연 0.50% 적용
2. 카드 사용 조건
해당 적금 가입일부터 만기 전월 말까지 본인 명의의 광주은행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사용 금액(매입 기준)이 500만원 이상인 경우 우대금리 연 0.50% 적용
3. 급여 이체 조건
해당 적금 가입 월부터 만기 전전달 말까지의 기간 동안, 본인 명의의 광주은행 입출금이 자유로운 계좌로 급여 이체 입금 실적 30회 이상인 경우 우대금리 연 0.50% 적용
※ 급여 이체 입금 실적의 조건
- 매월 1일부터 말일 사이에 급여성 문구(급여, 상여, 연금, 성과, 수당, 급료, 월급, 봉급, 보너스, Salary, Bonus, Pay)가 인자된 입금 실적이 건별 50만 원 이상인 경우(또는 당행 기관 급여 입금을 통한 입금 실적이 건별 50만원 이상인 경우 포함)
- 본인 계좌 간 이체를 통한 입금 실적은 인정되지 않으며, 월 1회만 입금 실적 인정됨
4. 만기 축하 우대 금리
만기 해지 시에 해지 원금이 3,000만원 이상인 경우 연 0.20% 우대금리 적용
5. 소득 플러스 우대 금리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2개월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금액의 소득 요건(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충족 횟수에 따라 최고 연 0.05% 우대금리 적용
충족 횟수에 따라 1회 충족 시 0.1%, 2회 충족 시 0.2%, 3회 충족 시 0.3%, 4회 충족 시 0.4%, 5회 충족 시 0.5% 우대금리 적용됨
광주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광주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상품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메뉴 버튼의 [신규/해지] → [예/적금신규] 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11. 전북은행
현재 기본 이자율이 가장 높은 은행은 기업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으로 연 4.50%입니다. iM뱅크와 경남, 부산은행은 4.00%이며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3.80%입니다. 그러나 기본 이자율에 우대금리를 합산한 전체 이자율은 현재 전 취급 은행이 연 6.00%으로 동일합니다.
전북은행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JB청년도약계좌는 현재 5년 만기 시 기본 이자율 연 3.8%이며 최초 3년간 고정금리로 가입 당시 약정 이율이 적용됩니다. 남은 기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되며 은행이 정한 이율을 따릅니다.
우대금리는 최대 연 2.20%이며 만기 해지 시에 적용됩니다.
JB청년도약계좌 이자율은 현재 기본 이자율과 우대금리를 합산해 최대 연 6% 이자율이 제공됩니다.
전북은행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
JB청년도약계좌의 우대금리는 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조건에 따른 우대금리를 살펴보겠습니다.
1. 소득+우대이율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 소득 금액이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연말 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충족 횟수에 따라 최대 연 0.50% 우대금리 적용
▶ 1회 충족 시 연 0.10%, 2회 충족 시 연 0.20%, 3회 충족 시 연 0.30%, 4회 충족 시 연 0.40%, 5회 충족 시 연 0.50%
2. 급여 이체 우대
가입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월 건당 50만원 이상인 경우 (월 1회 인정) 연 0.70% 우대금리 적용
3. JB카드 우대
가입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당행 신용(체크)카드 매입(사용) 실적이 있는 경우 (월 1회 인정) 연 0.50% 우대금리 적용
4. 자동이체 우대
가입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당행 계좌 간 자동이체로 이 예금에 입금 시 (월 1회 인정) 연 0.50% 우대금리 적용
5. 마케팅 동의
가입 시 개인(신용)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상품 서비스 안내 등) 동의한 경우(다만, 상품 서비스 안내 수단 전체 동의한 경우에 한함) 연 0.20% 우대금리 적용
전북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더 자세한 부분은 전북은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상품 → 예금 → 목돈 만들기 상품 → JB청년도약계좌] 메뉴로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은행 한눈에 비교하기
전체 은행을 한눈에 확인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기본 이자율이 3년 동안은 고정 금리가 적용되며, 이후 2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은행별로 우대금리 조건과 이자율을 확인해 보시고, 본인에게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은행을 선택하여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시기를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별 이자율, 우대금리 및 조건을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전 이러한 사항을 알아보고 유리한 은행에 신청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환급 바로가기 (0) | 2025.03.27 |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총정리 (신청 방법, 대상, 금액, 신청 기간 등) (0) | 2025.01.07 |
경제 공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바로가기 (0) | 2024.12.31 |
미리캔버스 기여자 요소 승인 및 거부 후기, 통과 tip (0) | 2024.12.26 |
탄소중립포인트 녹색생활 실천 가입확인서 발급 바로가기 (0)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