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대중교통비를 지원하는 여러 가지 정책이 시행 중인데요. 어떤 것을 이용하면 더 이득이 될지 알아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더 경기패스, I패스 차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K패스, 기후동행카드, 더 경기패스, I패스 차이 비교
더 경기패스와 I패스, K패스, 기후동행카드의 차이를 아래 표로 먼저 확인해 보세요.
구분 | K패스 | The 경기패스 | I패스 | 기후동행카드 |
방식 | 요금 환급 | 요금 환급 | 요금 환급 | 정기권 |
지원 대상 | 19세 이상 전 국민 | 19세 이상 경기도민 | 19세 이상 인천 시민 | 연령 제한 없음 (K패스 사업과 중복) |
지원 범위 |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
- 서울 지역 내 지하철 + 일부 경기도 구간 지하철 -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 따릉이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 제외) |
지원 기준 | 월 15회 ~ 60회 | 월 15회 ~ 무제한 | 월 15회 ~ 무제한 | 정기권으로 무제한 사용 |
지원 금액 | 이용 금액 적립률 (월 60회까지) * 일반 : 20% * 만 19세~ 34세 청년 : 30% * 저소득층 : 53% |
이용 금액 적립률 전액 * 일반 : 20% * 만 19세~ 39세 청년 : 30% * 저소득층: 최대 53% |
이용 금액 적립률 전액 * 일반 : 20% * 만 19세~ 39세 청년 : 30% * 만 65세 이상 : 30% * 저소득층 : 최대 53% |
월 62,000원 정기권 (3,000원 추가 시 따릉이까지 이용 가능) * 청년(만 19세 ~ 만 39세) : 7천원 추가 할인 |
이용 방법 | 매달 자동 환급 | 매달 자동 환급 | 매달 자동 환급 | 매달 충전 |
기후동행카드는 다른 세 가지 패스와는 다르게 정기권 형태로서 월 62,000원을 충전하여 한 달 동안 무제한으로 서울시 지하철, 버스를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고 3,000원을 추가하여 월 65,000원을 내면 따릉이까지 무제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만 19세 ~ 만 39세 청년의 경우에는 청년 연령 인증을 하면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금액, 대상, 등록, 재인증 방법
K패스, I패스, 더 경기패스는 정기권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환급받는 방식으로, 이용범위가 다소 제한된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전국 모든 대중교통에 대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는 월 최대 60회 이용분까지만 지원이 되며, The 경기패스와 I패스의 경우 월 최대 이용 횟수 제한 없이 지원됩니다.
K패스는 이용금액 적립률 30%를 적용받을 수 있는 청년이 만 19세 ~ 만 34세이지만 The 경기패스와 I패스는 만 19세 ~ 만 39세로 범위가 더 넓습니다.
I패스는 만 65세 이상에게도 30% 적립을 지원받을 수 있어, The 경기패스에 비해서도 혜택을 받는 연령의 범위가 더 넓습니다.
인천광역시에 거주하거나 경기도에 거주하는 경우, K패스보다는 The 경기패스 및 I패스를 사용하시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어떤 것이 좋을까
만약 본인이 만 19세 이상이며, 서울에 거주하고 서울권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한다면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중 무엇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본인이 만 19세에서 만 39세 사이의 청년이라면, 기후동행카드는 연령 인증 및 등록을 통해 7천 원을 추가로 할인받으실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시면 좋습니다. 청년 연령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고려하셔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후동행카드 : 정기권 금액으로 횟수는 무제한으로 적용되며, 서울시 지하철과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따릉이에 대하여 할인 적용[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지역인지 확인 필요]
*K패스 : 이용 횟수 월 최대 60회까지 지원해 주며 전국 모든 대중교통에 대해 할인 적용
월 이용 횟수와 대중교통 이용 지역을 따져서 한 달에 대중교통 요금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계산하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주로 서울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월 6~7만 원 정도의 대중교통비가 발생한다면 K패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으나, 만약 서울에서 거주하며 따릉이를 포함해 월 9만 원 정도의 대중교통비가 발생한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시는 것이 이득이 됩니다. 따릉이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3천 원 더 저렴해집니다.
만약 서울에 자가가 있어도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기후동행카드보다는 K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후동행카드는 다양한 문화 시설 할인 혜택도 제공됩니다. 서울식물원이나 서울대공원 등의 입장료나 공연 티켓 할인 등의 문화 할인 혜택이 지원되는데요. 이런 곳을 자주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 사용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더 경기패스와 K패스, 기후동행카드, I패스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교통비 지원 정책을 선택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폐업지원금 신청 바로가기 (원스톱 폐업지원) (0) | 2025.07.18 |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이자율 확인하기 (0) | 2025.07.08 |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환급 바로가기 (0) | 2025.03.27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총정리 (신청 방법, 대상, 금액, 신청 기간 등) (0) | 2025.01.07 |
경제 공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바로가기 (0) | 2024.12.31 |